보험연구원, ‘보험회사 경영자에 대한 보상체계 연구’연구보고서 발간
기본급 비중 높아, 미국의 4배
장기손익 중심의 가치경영을 위한 보상체계 마련 필요

imagetoday
imagetoday

국내 보험회사의 경영자 보수체계가 해외 주요 국가들에 비해 보상과 성과 간의 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마 개선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보험연구원의 한상용 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보험회사 경영자에 대한 보상체계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보험사 임원의 총보수 중 기본급의 비중은 68%로 나타났다. 나머지 성과보수 가운데 즉시 주지 않고 3년 간 나눠 이연(移延) 지급하는 비율은 50%로 총보수의 16%에 머물렀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6년간 보험사 임원 보수를 모두 반영하면 기본급 64%, 단기 성과급 19%, 장기(이연 지급) 성과급 17% 구조로 분석됐다.

이는 장기 성과급 비중이 높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금융시장과 차이를 보였다. 2008∼2018년 미국 보험회사 경영자 보상은 장기 성과급 73%, 기본급 16%, 단기 성과급 5%, 기타 6% 등이었다. 그만큼 실적향상을 위한 인센티브로 성과보상이 적절히 사용돼 왔다는 뜻이다.

이에반해 국내 보험사 임원은 성과가 나빠도 기본금 비중이 높아 보수를 많이 받는 구조를 보였다. 2018년 보험사 임원 1인당 평균 총 보수는 2억9100만원으로 이 가운데 기본급은 1억9400만원이었다. 회사의 성과와 관계없이 임원은 2억원에 가까운 고액 연봉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만 높은 보수체계는 보험업계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 전반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보험연구원
보험연구원

한상용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보험회사 경영자들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손익중심의 가치경영활동을 이끌기 위해 경영자 보상에서 성과보수의 비중을 높여 보수와 성과 간의 밀접한 상관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성과보수에서 주식보상(스톡옵션, 양도제한조건부 주식 등)의 비중을 늘려 경영자들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특히 경영자의 단기적 실적 추구나 과도한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성과보수에서 이연지급의 비중을 증가시켜야 한다면서, 보상체계에서 성과보수 비중의 증가는 수익성과 장기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한 연구위원은 “이연 지급 기간을 현재의 3년에서 7년으로 연장하고, CEO의 장기재임 기회가 늘어날수록 수익성과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경영자 보상체계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보험회사 최고경영자인의 장기적 재임기회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 보험저널은 금소법 위반, 작성계약, 불공정 행위 등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news@insjournal.co.kr, 1668-1345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보험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험저널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