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today
imagetoday

 

조지 레이코프는 ‘프레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정신적 구조물이다’라고 정의했다. ‘마음의 창’, ‘인식의 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프레임은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집 안에서 밖을 바라볼 때 창을 통해 바라보는 것처럼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프레임을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

‘음식이 싱겁다’라는 평가는 의사들에게 ‘몸에 좋은 음식이다’라는 의미일 수 있지만, 요리사에게는 ‘맛없는 음식’이라는 의미일 수 있다. 프레임이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세금을 ‘세금 폭탄’이라고 말하고 어떤 사람은 ‘세금은 의무이자 책임’이라고 말한다. 세금을 나쁜 것이라고 말하고 싶은 사람은 ‘세금 폭탄’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정당한 세금은 내야하고 세금으로 다양한 정부가 다양한 투자를 할 수 있다고 하는 사람은 ‘세금은 의무, 책임’이라고 말한다. 세금에 대한 서로 다른 프레임이다.

사람은 누구나 다양한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그 프레임을 통해 같은 세상을 다르게 이해하고 그 이해에 따라 다르게 행동한다.

머니프레임(Money Frame)

머니 프레임이란 ‘돈에 대한 인식의 틀’, ‘돈을 바라보는 방식을 결정하는 정신적 구조물’이다. 돈과 관련된 다양한 사건이나 상황, 사물들에 대해 인식하는 틀이다. 프레임이 사람마다 다른 것처럼 머니프레임도 사람마다 다르다.

우리에게 익숙한 몇 가지 머니프레임을 살펴보자. 가장 익숙한 머니프레임은 '흥부와 놀부' 프레임이다. 흥부와 놀부 이야기는 '착한 사람이 복을 받는다.'는 메시지를 가지고 있는 프레임이다. 이런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부자가 되기 위해 ‘착함’을 선택하고 누군가를 돕는 것을 선택한다. 그리고 부자는 복을 받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열심히 일해서 돈 벌어야지’라는 메시지를 거부한다.

개미와 베짱이 프레임도 익숙한 프레임이다. 부자들은 열심히 일을 하고 가난한 사람들은 게을러서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가난을 벗어나는 방법은 복을 받는 것이 아니라 더 열심히 일하는 방법이다. 이런 프레임은 가난에 대한 태도와 해결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젊은이들은 금수저 흙수저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어차피 흙수저로 태어난 것, 노력해도 의미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금수저가 아닌 부모를 원망하고 금수저가 될 수 없는 현실을 비난한다.

부와 가난을 결정하는 머니 프레임

프레임이 중요한 이유는 인식의 틀이기도 하지만 문제 해결의 틀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흥부놀부프레임, 개미 베짱이 프레임처럼 어떤 프레임을 가지느냐에 따라 선택하는 해결책이 다르다.

흥부놀부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성실하게 일하지 않는다. 금수저 흙수저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부자를 꿈꾸지 않는다. 하나의 프레임은 프레임 밖에 있는 해결책을 거부한다. 결국 어떤 머니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지가 부와 가난을 결정한다.  

부자들은 부자들의 머니 프레임이 있고 가난한 사람들은 가난한 머니프레임이 있다.

머니 프레임은 경험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된다. 어릴 때부터 들어왔던 부모들의 생각과 태도, 언어에 영향을 받는다. 살아오면서 경험한 다양한 경제적인 사건들과 그것에 대한 반응들이 머니 프레임을 구성한다.

착하고 능력 있고 성실한 사람들이 가난한 머니프레임에 갇혀 힘들어하는 모습을 자주 본다. 가난한 머니 프레임을 바꾸지 않으면 현실을 변화시키기 어렵다. 머니 프레임은 바꿀 수 있을까? 바꿀 수 있다면 어떻게 하면 되는 것일까?

프레임은 바꿀 수 있다. 부자의 머니 프레임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난한 머니프레임을 부자의 머니프레임으로 바꾸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함께 나누어 보자.

 

◇신성진 Money Storyteller  
現. ㈜한국재무심리센터 대표, 조흥은행 종합기획부, ING생명 FC, SM (주)에셋비 대표이사, ㈜네오머니 ‘행복한 부자’ 편집장

⊙ 보험저널은 금소법 위반, 작성계약, 불공정 행위 등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news@insjournal.co.kr, 1668-1345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보험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험저널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관련기사